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북위 39° 53′ 13″ 동경 124° 08′ 53″ / 북위 39.887° 동경 124.148°  / 39.887; 124.148
북위 38° 49.9′ 동경 124° 04.5′  / 북위 38.8317° 동경 124.0750°  / 38.8317; 124.0750 (JMA 기준)종류유발지진피해피해액미상사상자3명 부상으로 추정[6]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또는 1944년 압록강 하구 지진은 1944년 12월 19일 한국-중국 국경지대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 시 둥강 시에서 일어난 모멘트 규모 Mw6.6-6.8의 지진이다.[4] 지진 발생 당시엔 일제강점기 조선만주국의 국경 지대였다. 이 지진은 한반도 전역에서 감지되었다.[5] 일본에서도 규슈 북부의 나가사키현, 사가현, 가고시마현과 혼슈의 히로시마현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진도1을 관측하였다.[1]

지진 12일 전에 일본 구마노나다에서 일어난 도난카이 지진쇼와 도난카이 지진이 단층을 자극시켜 일으킨 유발지진인 것으로 추정된다.[7]

추정 규모

1944년 일어난 압록강 하구 지진의 규모는 여러 학자나 기관에서 서로 다르게 추정하고 있다. 이 지진에 대해 기록한 최초의 서적인 1960년 리샨방의 "중국지진목록"에서는 지진 진원지를 서조선만 중앙으로 추정하고 규모를 대략 M6.75라고 추정했다.[6] 국제지진센터에서는 1944년 지진의 규모를 Mw6.8로 추정하고 진원 깊이는 35.0km라고 밝혔다.[5] "조선지진목록"에 기재된 1944년 지진에서도 역시 규모 M6.8이라 추정하고 있다. 1952년 일본 중앙기상관측소에서 발표한 지진 규모는 대략 M7.1이라고 추정했다.[6]

흔들림 및 피해

1955년 리게위가 평양지진센터와 중국 랴오닝성 지진국 기록을 분석한 결과,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중국 단둥시, 둥강시, 좡허시 및 현재 북한의 룡천군과 같은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서 대략 VI(6)에 해당하는 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8][9] 이 외에도 일본 규슈 및 혼슈 일부 지역에서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진도1의 미약한 진동을 관측하였다.[1]

기록에서는 단둥시에서 지진으로 오래된 집 2채가 무너져 3명이 부상을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둥안현 및 신농향에서는 여러 주택이 무너졌다고 한다. 북한의 룡천군 기록에서는 지진이 일어나 걷거나 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땅이 흔들렸다는 기록이 있다.[6]

같이 보기

각주

  1.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ISS.CAT”. International Seismological Summary. 1964년.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3. “centennial.cat”. Centennial Earthquake Catalog. 2002년.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4. “M 6.6 - China-North Korea border region”. USGS.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5. “899663 North Korea”.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201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张志中; 潘华; 鄢家全; 吴宣; 李金臣 (2009). “北黄海重要历史地震参数复核”. 《中国地震》 (중국어 간체) 25 (4): 436–444. doi:10.3969/j.issn.1001-4683.2009.04.011. 2019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5일에 확인함. 
  7. 徹大内; 泰雨張; 清華黄 (2007년 4월 13일). “Korea及びその周辺域の地震・火山活動とアジア東縁のテクトニクス : 地震活動に現われる潜在構造”.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研究報告》 (일본어)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 6: 211-227. doi:10.24546/00317634. ISSN 1342-9167. 2018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9일에 확인함. 
  8. “什么?丹东地震了?原来真相是这样……” (중국어 간체). 搜狐新闻. 2017년 11월 11일. 2019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5일에 확인함. 
  9. 吴戈 (1995). 《黄海及其周围地区历史地震》 (중국어 간체). 北京: 地震出版社. 

외부 링크

  • (일본어) 朝鮮半島北部地震[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일본 기상청
  • M 6.6 - China-North Korea border region - USGS
  •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v
  • t
  • e
암석
선캄브리아기
고생대 조선 누층군
  • v
  • t
  • e
태백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코노돈트 생층서대
  • 화절층
    • Proconodontus
    • Eoconodontus notchpeakensis
    • Cambrooistodus minutus
    • Cordylodus proavus
    • Fryxellodontus inornatus-Monocostodus sevierensis-Semiacontiodus lavadamensis
  • 두무골층
    • Chosonodina herfurthi-Rossodus manitouensis
    • Glyptoconus quadraplicatus
    • Paracordylodus gracilis
    • Triangulodus dumugol
  • 막골층
    • Triangulodus changshanensis-Aurilobodus leptosomatus
  • 직운산층
    • Eoplacognathus suecicus-Eoplacognathus jigunsanensis
영월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 삼방산층
    • Metagraulos sampoensis
    • Megagraulos semicircularis
  • 마차리층
    • Tonkinella
    • Lejopyge armata
    • Glyptagnotus stolidotus
    • Glyptagnostus reticulatus
    • Proceratopyge tenuis
    • Hancrania brevilimbata
    • Eugonocare longifrons
    • Eochuangia hana
    • Agnostotes orientalis
    • Pseudoyuepingia asaphoides
  • 와곡층
    • Fatocephalus hunjiangensis
  • 문곡층
    • Yosimuraspis
    • Kainella
    • Shumardia
  • 영흥층
    • Kayserapsis
필석 생층서대
  • 문곡층
    • Adelograptus
    • Callograptus-Dendrograptus
    • Psigraptus
평창층군
용탄층군
지층
코노돈트 생층서대
문경층군
평남분지
  • 중화층군
  • 흑교층군
  • 무진층군
  • 고풍층군
    • 상서리·만달·신곡층군
주요 화석
지질구조
습곡
단층
영월인편상구조대
기타
지질유산
삼척시
동해시
태백시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단양군
문경시
기타
지하자원
삼척·태백
영월군
정선군
제천시
기타
기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고생대 평안 누층군
  • v
  • t
  • e
삼척탄전
영월탄전
강릉탄전
정선-평창탄전
단양탄전
문경탄전
보은탄전
화순탄전
해남-강진탄전
석탄박물관
관련 문서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중생대 경상 누층군
  • v
  • t
  • e
신동층군

하양층군
의성소분지
밀양소분지
영양소분지
유천층군
불분명·기타
지역별 지질
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그 외
지질 유산
경북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 v
  • t
  • e
암석
대보·불국사 관입암
  • 청송 화강암
  • 흑운모 화강암
  • 부남암주
  • 규장암
  • 산성암맥
  • 중성암맥
중생대 경상 누층군
선캄브리아기
  • 화강암질 편마암
  • 각섬암
  • 석회규산염암
지질유산
퇴적암
화성암
  • 주왕산 기암단애
  • 주방천 페퍼라이트
  • 주왕산 연화굴
  • 주왕산 용추협곡
  • 주왕산 용연폭포
  •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 주왕산 절골협곡
  • 주산지
  • 청송 얼음골
  • 법수도석
  • 병암 화강암 단애
  • 나실 마그마 혼합대
  • 면봉산 칼데라
  • 수락리 주상절리
  • 파천 구상 화강암
  • 청송 구과상 유문암
  • 노루용추 계곡
  • 달기약수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의성지질공원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대구
경남
유천층군
진동층
함안층
진주층
기타
부산
  • v
  • t
  • e
암석
중생대 화강암
중생대 경상 누층군
화산암
퇴적암
지질유산
기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울산
기타
경상 분지
내 단층
가음 단층
양산 단층
기타
지하자원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신생대
북한
  • v
  • t
  • 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입암류
신생대 관입암류
중생대 관입암류
  • 두만강암군
  • 평강암군
  • 혜산암군
  • 단천암군
  • 압록강암군
고생대 관입암류
원생대 관입암류
  • 안돌암군 II부류
  • 묘향산암군(련화산암군 II부류)
  • 리원암군
  • 벽성암군
  • 옹진암군
  • 삭주암군
  • 연산암군
  • 삼해암군
시생대 관입암류
  • 안돌암군 I부류
  • 련화산암군
  • 무산암군(종전 리원암군)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주요 지질 구조
지체 구조
단층
  • v
  • t
  • e
적색 처리된 단층은 ESR 연대측정, OSL 연대측정, 탄소-14 연대측정에 의해 제4기에 활동한 것으로 확인된 활성단층이다.
수도권 지역
주요 단층
기타 단층
강원도 지역
주요 단층
영월인편상구조대
설악산·인제군
강릉시·평창군
치악산·횡성군
기타 단층
충청도 지역
주요 단층
단양군
충주·제천
경상도 지역
양산 단층
울산 단층
가음 단층
안동시
문경시
상주시
울진·봉화
영양군
대구광역시
경주·포항
기타
전라도 지역
동해 해역
북한
단층 분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습곡
화산지형
고원
기타
주요 지진
  • v
  • t
  • e
고려 시기 이전
(- 1392)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 경성 (1906 · M6.0)
  • 한국-중국 국경 지역 (1917 · M6.1)
  • 포항 해역 (1936 · M5.0)
  • 지리산 지역 (1936 · M5.1)
  • 포항 (1943 · M6.0)
  • 한국-중국 국경 지역 (1944 · M6.6)
  • 평양-강서 지역 (1952 · M6.3)
  • 평양 지역 (1960 · M5.1)
  • 보은 지역 (1970 · M4.9)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역별 지질
경기 지역
강원 지역
충청 지역
영남 지방
호남 지방
지질 명소
경기·인천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한국의 산맥
관련 기관
옛날 지질지도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 v
  • t
  • e
고려 시기 이전
(- 1392)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 경성 (1906 · M6.0)
  • 한국-중국 국경 지역 (1917 · M6.1)
  • 포항 해역 (1936 · M5.0)
  • 지리산 지역 (1936 · M5.1)
  • 포항 (1943 · M6.0)
  • 한국-중국 국경 지역 (1944 · M6.6)
  • 평양-강서 지역 (1952 · M6.3)
  • 평양 지역 (1960 · M5.1)
  • 보은 지역 (1970 · M4.9)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 v
  • t
  • e
역사지진
  • 태산 (기원전 1813년?, M?)
  •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 윈난성 리장 (1515년, M?)
  • 산시성 (1556년, M8.5)
  • 백두산 인근 (1597년, M8)
  •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 광둥성 (1605년, M?)
  •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 충칭 (1856년, M?)
  •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 신장 우차 (1985년, M7.4)
  •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 신장 가스 (1997년, M6.4)
  •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 신장 피산 (2015년, M6.4)
  •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 신장 징허 (2017년, M6.3)
  •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 신장 우스 (2024년, M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