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3년 울산 지진

1643년 울산 지진은 1643년(인조 21년) 7월 24일(음력 6월 9일) 울산 앞바다서 일어난 지진이다. 지진 규모는 M6.5~7.4 인것으로 추정되고있다.

1643년 울산 지진
UTC 시각??
ISC 지진번호
USGS-ANSS
현지일1643-07-24
현지시간15~16시
규모   릭터 규모 6.7-7.4
모멘트 규모 6.5
최대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VIII~X
지진해일있음

원문

이 지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언급이 존재한다.

경상감사 장계의 내용이다. 좌도가 안동에서부터 동해 · 영덕 이하를 경유해 돌아서 김천 각 읍에 이르기까지, 이번 달 초 9일(辛未) 신시(오후 3시-5시), 초 10일 진시(오전 7시-9시)에 두 번 지진이 있었다. 성벽이 무너짐이 많았다. 울산 역시 같은 날 같은 시각에 마찬가지로 지진이 있었다. 울산부의 동쪽 13리 밀물과 썰물이 출입하는 곳에서 물이 끓어올랐는데, 마치 바다 가운데 큰 파도가 육지로 1, 2보 나왔다가 되돌아 들어가는 것 같았다. 건답 6곳이 무너졌고, 물이 샘처럼 솟았으며, 물이 넘자 구멍이 다시 합쳐졌다. 물이 솟아난 곳에 각각 흰 모래 1, 2두가 나와 쌓였다. (慶尙監司狀啓, 左道自安東, 由東海·盈德以下, 回至金山各邑, 今月初九日申時·初十日辰時, 再度地震, 城堞頹圮居多。蔚山亦同日同時, 一體地震, 府東十三里潮汐水出入處, 其水沸湯謄涌[騰涌], 有若洋中大波, 至出陸地一二步而還入, 乾畓六處裂坼, 水涌如泉, 其穴逾時還合, 水涌處各出白沙一二斗積在云云事。)
— 《승정원일기》 6월 21일[1]
한양에 지진이 있었다. 경상도의 대구·안동·김해·영덕 등 지역의 고을에도 지진이 있어 연대(烟臺)와 성첩(城堞)이 많이 무너졌다. 울산부에서는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구쳐 나왔다. 전라도에도 지진이 있었다. 화순현에서는 부자(父子)가 벼락을 맞아 죽었고, 영광군에서는 형제가 말을 타고 들에 나갔다가 말과 함께 일시에 벼락맞아 죽었다.
— 《조선왕조실록》 1643년 6월 9일 1번째 기사
신시(申時)에 땅이 흔들리더니 울산도호부(蔚山都護府)의 관아가 무너졌다.땅이 흔들리며 도호부 남쪽 황룡연의 물이 갑작스레 줄었다. 병영에서는 초기에는 흔들거림이 있다가 갑작스레 우물이 넘쳐나고 개울이 요동치니 천지가 흔들리는듯 하였다고 하였다.. 이후 흔들림이 멈추었다가 갑자기 더욱 땅이 요동치며 황룡연의 용이 승천하는듯 마른하늘에 천둥이 쳤다. 이후 병영의 외성과 문루가 무너저 내리고 병영내외의 가옥들이 돌에 깔리거나 주저 않았으며 멀리 병영의 남문과 관아가 쓰러지며 커다란 구름이 생기었다. 병영에서는 백성들의가옥 140여호가 무너져 내렸다. 읍내에는 먼지가 자욱하여 백성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사방에서 들려왔다..염포포구에는 물이 들어찼다..
— 《울산군관읍지》 1650년도 6월 관련사건 '2권 30장 5구절' 울산도호부에 지진이 일어나다.

같이 보기

각주

  1. “蔚山 등에 地震이 있었고 바닷물이 들어왔다는 慶尙監司의 장계”. 승정원일기 85책 (탈초본 5책) 인조 21년 6월 21일 계미 4/16 기사. 
  • v
  • t
  • e
암석
선캄브리아기
고생대 조선 누층군
  • v
  • t
  • e
태백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코노돈트 생층서대
  • 화절층
    • Proconodontus
    • Eoconodontus notchpeakensis
    • Cambrooistodus minutus
    • Cordylodus proavus
    • Fryxellodontus inornatus-Monocostodus sevierensis-Semiacontiodus lavadamensis
  • 두무골층
    • Chosonodina herfurthi-Rossodus manitouensis
    • Glyptoconus quadraplicatus
    • Paracordylodus gracilis
    • Triangulodus dumugol
  • 막골층
    • Triangulodus changshanensis-Aurilobodus leptosomatus
  • 직운산층
    • Eoplacognathus suecicus-Eoplacognathus jigunsanensis
영월층군
지층
삼엽충 생층서대
  • 삼방산층
    • Metagraulos sampoensis
    • Megagraulos semicircularis
  • 마차리층
    • Tonkinella
    • Lejopyge armata
    • Glyptagnotus stolidotus
    • Glyptagnostus reticulatus
    • Proceratopyge tenuis
    • Hancrania brevilimbata
    • Eugonocare longifrons
    • Eochuangia hana
    • Agnostotes orientalis
    • Pseudoyuepingia asaphoides
  • 와곡층
    • Fatocephalus hunjiangensis
  • 문곡층
    • Yosimuraspis
    • Kainella
    • Shumardia
  • 영흥층
    • Kayserapsis
필석 생층서대
  • 문곡층
    • Adelograptus
    • Callograptus-Dendrograptus
    • Psigraptus
평창층군
용탄층군
지층
코노돈트 생층서대
문경층군
평남분지
  • 중화층군
  • 흑교층군
  • 무진층군
  • 고풍층군
    • 상서리·만달·신곡층군
주요 화석
지질구조
습곡
단층
영월인편상구조대
기타
지질유산
삼척시
동해시
태백시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단양군
문경시
기타
지하자원
삼척·태백
영월군
정선군
제천시
기타
기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고생대 평안 누층군
  • v
  • t
  • e
삼척탄전
영월탄전
강릉탄전
정선-평창탄전
단양탄전
문경탄전
보은탄전
화순탄전
해남-강진탄전
석탄박물관
관련 문서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중생대 경상 누층군
  • v
  • t
  • e
신동층군

하양층군
의성소분지
밀양소분지
영양소분지
유천층군
불분명·기타
지역별 지질
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그 외
지질 유산
경북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청송지질공원
  • v
  • t
  • e
암석
대보·불국사 관입암
  • 청송 화강암
  • 흑운모 화강암
  • 부남암주
  • 규장암
  • 산성암맥
  • 중성암맥
중생대 경상 누층군
선캄브리아기
  • 화강암질 편마암
  • 각섬암
  • 석회규산염암
지질유산
퇴적암
화성암
  • 주왕산 기암단애
  • 주방천 페퍼라이트
  • 주왕산 연화굴
  • 주왕산 용추협곡
  • 주왕산 용연폭포
  •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 주왕산 절골협곡
  • 주산지
  • 청송 얼음골
  • 법수도석
  • 병암 화강암 단애
  • 나실 마그마 혼합대
  • 면봉산 칼데라
  • 수락리 주상절리
  • 파천 구상 화강암
  • 청송 구과상 유문암
  • 노루용추 계곡
  • 달기약수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의성지질공원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대구
경남
유천층군
진동층
함안층
진주층
기타
부산
  • v
  • t
  • e
암석
중생대 화강암
중생대 경상 누층군
화산암
퇴적암
지질유산
기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울산
기타
경상 분지
내 단층
가음 단층
양산 단층
기타
지하자원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신생대
북한
  • v
  • t
  • 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입암류
신생대 관입암류
중생대 관입암류
  • 두만강암군
  • 평강암군
  • 혜산암군
  • 단천암군
  • 압록강암군
고생대 관입암류
원생대 관입암류
  • 안돌암군 II부류
  • 묘향산암군(련화산암군 II부류)
  • 리원암군
  • 벽성암군
  • 옹진암군
  • 삭주암군
  • 연산암군
  • 삼해암군
시생대 관입암류
  • 안돌암군 I부류
  • 련화산암군
  • 무산암군(종전 리원암군)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주요 지질 구조
지체 구조
단층
  • v
  • t
  • e
적색 처리된 단층은 ESR 연대측정, OSL 연대측정, 탄소-14 연대측정에 의해 제4기에 활동한 것으로 확인된 활성단층이다.
수도권 지역
주요 단층
기타 단층
강원도 지역
주요 단층
영월인편상구조대
설악산·인제군
강릉시·평창군
치악산·횡성군
기타 단층
충청도 지역
주요 단층
단양군
충주·제천
경상도 지역
양산 단층
울산 단층
가음 단층
안동시
문경시
상주시
울진·봉화
영양군
대구광역시
경주·포항
기타
전라도 지역
동해 해역
북한
단층 분지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습곡
화산지형
고원
기타
주요 지진
  • v
  • t
  • e
고려 시기 이전
(- 1392)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역별 지질
경기 지역
강원 지역
충청 지역
영남 지방
호남 지방
지질 명소
경기·인천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한국의 산맥
관련 기관
옛날 지질지도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 v
  • t
  • e
고려 시기 이전
(- 1392)
  • (고구려 졸본 (2 · M?))
  • 위례성 인근 (13 · M?)
  • 위례성 인근 (27 · M6.3)
  • 광주 (89 · M6.3)
  • 경주 (100 · M6.3)
  • 경주 (123 · M6.3)
  • 경주 (304 · M6.3)
  • 평양 (502 · M6.3)
  • 경주 (510 · M6.3)
  • 경주 (664 · M6.3)
  • 경주 (779 · M6.7)
  • 경주 (780 · M6.3)
  • 개성 (1036 · M5.7)
  • 개성 (1385 · M6.3)
조선 시기
(1392-1905)
  • 순천 (1455 · M6.4)
  • 한성 (1518 · M6.7)
  • 백천 해역 (1518 · M6.7)
  • 경산 (1553 · M6.3)
  • 백두산 인근 (1597 · M8<)
  • 수원 (1613 · M6.3)
  • 합천 (1643 · M6.4~6.7)
  • 울산 해역 (1643 · M6.7)
  • 황해 해역 (1649 · M6.5)
  • 순창 (1664 · M6.3)
  • 황해도 청단 (1668 · M6.4)
  • 김제 해역 (1670 · M6.3)
  • 양양 해역 (1681 · M7.5)
  • 홍성 (1700 · M6.5)
  • 개성 (1714 · M6.7)
  • 함흥 (1727 · M5.7)
  • 부령 (1810 · M?)
  • 대한제국 중부 (1899 · M6.4)
근대적 관측 시기
(1905-1977년)
정밀 관측 시기
(1978년-현재)
한국에 영향을 준 지진해일
  • 한국의 지질
  • 한국의 단층
  • 조선 누층군
  • 평안 누층군
  • 옥천 누층군
  • 경상 누층군
  • 북한 관입암류
  • 한국의 지진
  •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 단양국가지질공원
  • 청송지질공원
  • 부산국가지질공원
이 글은 재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