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La-Di, Ob-La-Da

〈Ob-La-Di, Ob-La-Da〉
비틀즈의 싱글
《The Beatles》의 싱글
B면〈I Will〉 (필리핀)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다른 곳에서)
출시일1968년 11월 22일
녹음1968년 7월 8일, 9일, 11일, 15일
런던 EMI 스튜디오
장르, 스카
길이3:07
레이블애플
작사·작곡레논-매카트니
프로듀서조지 마틴
〈Ob-La-Di, Ob-La-Da〉
비틀즈의 싱글
《The Beatles》의 싱글
B면〈Julia〉
출시일1976년 11월 8일
포맷7인치
레이블캐피틀 4347
작사·작곡레논-매카트니
비틀즈 싱글 연표
Got to Get You into My Life
(1976)
〈Ob-La-Di, Ob-La-Da〉
(1976)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78)

Ob-La-Di, Ob-La-Da〉는 1968년 음반 《The Beatles》에 수록된 비틀즈의 노래이다. 레논-매카트니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그 곡은 폴 매카트니에 의해서만 쓰여졌다. 그것은 많은 나라에서 같은 해에 싱글로 발매되었지만, 그들의 모국인 영국과 미국에서는 1976년까지 발매되지 않았다.

가사

폴 매카트니는 영국에서 하이라이프레게 음악이 인기를 얻기 시작할 즈음에 이 곡을 썼다. 시작곡은 "Desmond has a barrow in the market-place (데스먼드는 시장에서 손수레를 끄는 남자고)"으로 최초로 영국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친 세계적으로 유명한 자메이카 스카레게 음악가인 데스먼드 데커에 대한 언급이었다.[1] 태그 라인 인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h (인생은 흘러가는거야)"은 매카트니의 지인인 나이지리아 콩가 연주자 지미 스캇이 사용한 표현이다.[2] 대중 문화에서 사용된 또 다른 용어의 예로, 메리 루 윌리엄스가 디지 길레스피를 위해 작곡한 1945년 노래 〈In the Land of Oo-Bla-Dee〉가 있다 (《Dizzy Digs Paris》에서 들을 수 있다).

이 노래는 내림나장조로 되어 있으며 박자표로 되어 있었다. 《Anthology 3》 발행된 얼터너티브 버전은 가장조이다.

참여 인원

  • 폴 매카트니 – 보컬, 일렉트릭 베이스, 어쿠스틱 베이스[3], 박수, 보컬 퍼커션
  • 존 레논 – 피아노, 백 보컬, 박수, 구어, 보컬 퍼커션
  • 조지 해리슨 – 어쿠스틱 기타, 백 보컬, 박수, 구어, 보컬 퍼커션
  • 링고 스타 – 드럼, 봉고, 마라카스, 다른 퍼커션, 박수, 보컬 퍼커션

이언 맥도널드[4]과 마크 루이슨[5] 인원

트리비아

기아자동차의 쏘울이라는 차의 광고에 이 노래가 나온다.

각주

  1. Nytimes.com
  2. Spitz, Bob (2005). 《The Beatles》.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 ISBN 0-316-80352-9. 
  3. Babiuk, Andy. 《Beatles Gear》. 221쪽. ISBN 1617130990. 2020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4일에 확인함. 
  4. MacDonald 1998, 258쪽.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MacDonald1998 (help)
  5. Lewisohn 1988, 140-142쪽.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Lewisohn1988 (help)

외부 링크

  • Austrian #1 singles
  • 가사 - MetroLyrics
  • 앨런 W. 폴랙의 Notes on "Ob-La-Di, Ob-La-Da"
  • v
  • t
  • e
《The Beatles (White Album)》
수록곡
1면
2면
3면
4면
음반 미수록 싱글
아웃테이크
  • 〈A Beginning〉
  • Child of Nature
  • 〈Circles〉
  • Etcetera
  • 〈Junk〉
  • 〈Not Guilty〉
  • 〈Sour Milk Sea〉
  • 〈What's the New Mary Jane〉
관련 문서
  • v
  • t
  • e
영국과 미국
(전 레이블)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 〈Let It Be〉 / 〈You Know My Name (Look Up the Number)〉
1978년
1982년
1995년
1996년
영국 싱글
(팔로폰,
애플)
1962년
  • 〈My Bonnie〉 / 〈The Saints〉
  • Love Me Do〉 / 〈P.S. I Love You〉
1963년
1964년
  • 〈Ain't She Sweet〉 / 〈If You Love Me, Baby〉
  • 〈A Hard Day's Night〉 / 〈Things We Said Today〉
1976년
미국 싱글
(비-제이,
스완,
톨리,
캐피틀,
애플)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70년
1976년
그외 국가
(오데온,
애플)
1964년
  • 〈Komm, gib mir deine Hand〉 / 〈Sie liebt dich〉 (독일)
1968년
  •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 〈Nowhere Man〉 (호주)
1969년
  • 〈You're Going to Lose That Girl〉 / 〈Tell Me What You See〉 (일본)
1970년
1972년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뮤직브레인즈 작품